[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과천 화훼단지가 지난 20일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지구계획에서 최종 승인됐다.

이 사업은 지난 정권 때 뉴스테이 주암지구로 선정되면서 문재인 정부 들어 ‘민간임대주택’ 공급으로 사업내용이 변경됐다. 그러나 화훼인들 입장에서는 개발 위기로 강제 이주된다는 것은 달라지지 않았다. 화훼인들은 지역민이 배제된 도시개발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는 비단 화훼인들만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기존 임대 상인이나 주거 세입자들에게도 해당된다.

화훼인들이 국가정책에 의해 자신들의 터전을 일방적으로 뺏기고 강제 이주하는 작금의 ‘화훼단지 현상’은 비단 과천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재개발로 생존권을 박탈당한 서민들의 흑역사를 요즘은 젠트리피케이션이라 부른다. 강제이주가 ‘디아스포라’만의 것은 아니다. 기존에 건물 혹은 토지를 점유한 이들이 건물 값 상승 또는 강제 개발이라는 외부요인에 의해 주거권과 생존권을 뺐기는 현상은 상권이 이동했던 청계천, 용산 등 대도시에서 광범위하게 반복돼 왔다.

과천 화훼단지에는 수많은 화훼 전문매장과 30년 이상 유지된 화훼집하장이 있으며, 그 주변으로 수백 명의 화훼 유통인들과 화훼 농가가 생업을 유지하고 있다. 생존을 건 화훼인과의 시 차원의 지속적인 대화와 관심이 요구되는 이유다.

화훼인들은 어차피 개발될 거라면 화훼인들의 생존권 침해를 최소화하는 유통센터 건립을 지속적으로 시에 피력해왔다. 화훼단지가 있는 과천 주암지구 문제는 지난 지방선거 때 과천시장 후보들의 공약으로 떠올라 화훼인들에게 흐릿하나마 희망의 끈으로 비쳤다. 과천시장으로 출마한 김종천 당선인도 ‘과천 화훼특구 및 화훼브랜드 지원’이라는 공약을 내걸었다. 향후 공약실천 행보는 화훼인들이 지켜볼 것이다.

과천 화훼단지는 그 자체로 대한민국 화훼의 역사이자 화훼도시 과천의 정체성을 의미한다. 40년 이상 지역경제에도 이바지하며 독특한 지역성을 갖춰나갔다. 가장 좋은 대안은 개발 후 이주형태보다 기존 형성돼온 화훼단지를 크게 훼손하지 않은 채 경관적으로 개선된, 화훼단지만의 창의적 콘텐츠가 녹아있는 가든센터 조성이다.

외국의 경우 가든센터는 그 자체로 식물, 조경, 정원, 교육, 산업이 어우러진 문화공간이다. 식물을 구입하고, 배우며, 조성하면서 가든센터와 주거공간을 잇고 상인과 개인, 산업과 일상을 연결할 수 있는 통합된 공간인 것이다. 

화훼단지에서 만난 한 관계자는 파주의 프로방스정원에서 해답을 찾으려 했다. 상업공간이었던 시설이 정원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다양한 경관과 콘텐츠를 생산한 예처럼 화훼단지의 또다른 녹색미래를 생각해본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