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규 경기도 공원녹지과 과장  [사진 지재호 기자]
이성규 경기도 공원녹지과 과장 [사진 지재호 기자]

[Landscape Times 지재호 기자] 올해 4월 경기도의 도시녹화업무를 전담하던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이하 진흥원) 도시정원부가 폐지되면서 진흥원이 진행하던 경기정원문화박람회와 조경가든대학 등의 관련 업무가 모두 경기도 공원녹지과 정원문화팀으로 이관됐다.

다만 오는 10월 부천에서 개최되는 경기정원문화박람회는 진흥원이 맡게 되면서 그나마 순조로운 개최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

그러나 우려에 대한 시선은 여전하다. 우선 진흥원 내에 기존 정원문화박람회 운영 조직이 제각각 인사이동을 마친 상태로 현재 남아있는 인력 또한 경험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본지는 이성규 경기도 공원녹지과 과장을 만나 현재의 진행 상황을 들어보았다.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관련 준비 상황은 어떠한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자체를 녹지재단, 유통진흥원 등 명칭을 바꿔가면서 해 오다가 지난 2017년 공공기관 평가에서 정원문화박람회와 시민정원사 등 경기도 공원녹지과에서 위탁받은 사업을 경영평가에서 제외토록 했다. 그러다보니 올해 6월 30일자로 업무이관을 하도록 했다.

이에 진흥원에서는 박람회 기본계획만 만들어서 넘겨주겠다며 완강하게 나왔다. 하지만 우리는 지난 3월 말에야 관련 조직을 꾸렸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었다. 때문에 협의를 거쳐 올해까지만 진흥원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결론을 짓게 됐고 현재까지는 계획에 차질 없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진흥원 조직이 없어지면 행사의 연속성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있는데.

우리도 걱정했던 바였다. 진흥원은 정원관련 직원들을 자체 인사이동으로 편재해 사실상 없어진 상태다. 진흥원 당시 과장이나 대리 등 최연철 부장을 제외하고 그리 오래한 사람들이 없다.

진흥원이 현재 맡고 있는 사람들도 오랜 경험이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관련 분야에서 9명의 박람회 진흥위원회로 위촉해서 운영하고 있다. 또한 과거 녹지재단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공기관에 부서를 만들어 정원만 아니라 공원 등의 사업 대행을 할 수 있는 방향을 구상하고 있다.

 

정원문화팀과 업무가 중첩되지 않나?

그들은 공공기관이고 공무원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중첩은 되지 않을 것이다. 민간단체 경상보조사업으로 도에서 직접 예산을 쓰지 못하는 경우 이를 대행할 수 있는 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과거 진흥원의 전신인 녹지재단과 같은 일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차기 도지사 당선인에게 확인을 받아야 하겠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이러한 업무 위탁을 진흥원에 맡기는 것은 반대하고 있지만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을 생각하고 있다.

다만 변수가 많은 관계로 7~8월경에 윤곽이 나타날 것이라 본다. 또한 도에서는 직접 할 수 없기 때문에 정원 보급을 하는 데는 주민참여라는 부분이 있어서 주민참여에 대한 예산 지원이 공공기관은 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정원 관리를 위해 지자체 선정도 신경 써야 할 것 같다는 지적인데.

관리에 관한 약속은 다 받고 있다. 그런데 1회 장소인 옥구공원은 정원이 거의 없어진 상태인데 시간이 흐르면서 지자체 장도 바뀌고 담당자도 바뀌면서 연속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다. 그래서 대안으로 가칭 세계정원경기가든 부지에 집약적으로 작품을 전시하자는 차원에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실 1회 옥구공원에서 개최된 경기정원문화박람회는 정원이라기보다는 공원문화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때문에 횟수를 거듭하면서 정원에 대한 기본 틀을 점차 찾아가고 있었다고 본다.

 

[사진 지재호 기자]
[사진 지재호 기자]

 

정원박람회는 지자체가 많이 개최하지만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인데.

부천에서 개최되는 박람회는 확실히 차별성에 무게를 두고 진행하고 있다. 일반과 전문적인 가든디자이너로 분류해 정원문화거리라는 테마를 가지고 조성될 예정이다.

정원문화에 대한 경기도민들의 욕망은 매우 높고 기대치도 높은 상황이다. 경기도만의 특색 있는 정원문화를 확립하고 해외 교민들이 향수를 달랠 수 있는 경기도형 정원이 한국정원을 대표할 수 있도록 목표를 정하고 추진해 나갈 것이다.

 

시민정원사들의 인건비 문제가 들리는데.

그 부분은 매년 나왔다. 1회 옥구 개최 때는 1만2000원이었다. 최근 2~3년 전부터 4만원으로 상향했는데 인건비를 올리면 올릴수록 기존 조경 관련 업체들과 충돌이 일어났다. 시민정원사의 취지는 자원봉사였다. 1일 4시간 기준해서 4만원 지급하고 있는데 인건비 문제는 이해설득을 통해서 자원봉사 성격을 이어가려고 협의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인상할 경우 경기도에 등록된 조경 관련 기업이 800여 개나 되기 때문에 충돌 우려가 잠재돼 있어 쉽지만은 않다.

 

조경가든대학 운영은 어떤가?

조경가든대학 운영도 문제는 있었다. 진흥원에서 업무를 하지 않기로 한 것이 지난해 12월 7일이었다. 올해 예산편성도 하지 않았다. 지난 6월 말로 이관한다고 해서 지난해 12월 7일자로 손을 떼 예산이 없는 관계로 급하게 오는 9월 추경예산에 포함시켰다.

또한 윤미란 정원문화팀장이 사전에 조경가든대학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을 방문해 의견을 나눴고 협의를 진행해 차질 없이 운영을 할 수 있게 됐다.

 

국가도시공원·정원 조성에 지자체들이 아우성이다. 이에 대해 한 마디.

정원은 완전한 법 지원 체계가 이뤄지지 않았고, 도시공원은 조성과정에 있어 광역단체인 도지사가 빠져있어서 법적 제도가 미약한 실정이다. 앞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도시공원 법률 개정을 해 도지사가 도시공원 조성과 관리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또한 수목원 및 정원에 관한 법률에서 정원 조성시 국가재정이 투입될 수 있는 법제정이 진행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