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도시공원일몰제가 시행되면 1인당 누리던 7.6㎡ 공원면적이 4㎡로 반토막 된다. 이러한 사실을 과연 얼마나 많은 국민들이 알고 있고 이해를 하고 있을까?

조금 더 쉽게 접근해 보자. 아침에 공원이나 집 앞 등산로를 이용해 산책을 즐기거나 운동을 해 왔다.

그러던 어느 날 집 앞 등산로에는 바리케이드 또는 철조망이 가로 막고 있다. 그 앞에는 ‘이곳은 사유지이니 무단출입 금지’라고 붉은 글씨로 크게 인쇄돼 있다.

이게 무슨 일인지 이해를 못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구청에 민원을 제기할 것은 불 보듯 훤하다. 도시공원일몰제는 이런 것이다.

지난 29일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해 전국시민행동은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도시공원일몰제 해결촉구, 지방선거 공약제안’ 공동기자회견을 가졌다.

오는 6월 지방선거를 대비하고 있는 각 정당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로 도시공원일몰제로 지정이 해제될 경우 사유지의 소유자는 임의대로 개발을 할 수 있어 난개발이 우려되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아울러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호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공원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는 조경계는 어떤 실천적 행동을 하고 있을까?

지난해 6월 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조정식 의원 등 9명의 국회의원과 생명의 숲 등 6개 시민단체가 주관하는 ‘도시공원일몰제 해결을 위한 국회토론회’가 개최됐다.

4월 17일 광화문 광장에서는 전국 시민사회단체 300개가 참여하는 ‘2020 도시공원일몰제 대응 전국시민행동 발족식 겸 공동기자회견’이 마련됐다.

이들 모두는 방송과 일간지 등 미디어들로부터 주목을 받았고 비교적 비중 있게 다뤄졌다. 그러나 이 자리에 조경 관련단체나 관계자는 동참하지 않았다. 소통의 부재인지 아니면 각자도생(各自圖生)의 마음인지는 알 수 없으나 조경의 업역 수호를 외치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어 안타까움만 컸다.

그렇다고 해서 조경업계가 전혀 움직임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다.

다만 실천행동이라기보다는 그들만의 리그처럼 토론회나 세미나 등 주목 받지 못하는 행사만 다반사였다.

시민단체의 주요 행사 진행을 보면 시민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는 한편 내가 아닌 우리가 함께 나서야 세상을 바꾸고 더 좋은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한다.

하지만 조경계는 ‘호떡집에 불났다’고 우리끼리만 전파한다.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방식을 유도하기 보다는 ‘우리가 남이가’라는 식으로 서로만 바라보고 말을 한다.

도시공원일몰제. 남의 일이 아니라 우리나라 조경계에 있어 중요한 먹거리 사업과도 연결되는 핵심 키워드다.

묻거나 알리다의 뜻을 가진 물을 신(訊). 어차피 도시공원일몰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저 넘어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물어야 할 때가 됐다. 정부에서 어떤 정책을 펼칠 것인지. 정책의 방향은 어떻게 잡을 것인지. 조경계가 앞서서 선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이 없는지.

어쩌면 도시공원일몰제는 뉴딜정책과 맞물려 조경계에게 큰 희망이자 선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그게 아니라면 조경계는 또 다시 고양이에게 치즈를 빼앗긴 억울함에 분노하는 시간을 보내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