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한국조경사회가 주최한 ‘도시재생과 조경가의 역할’에 대한 세미나가 지난 15일 가든파이브에서 열렸다. 토론회 모습.

문재인정부의 핵심사업으로 향후 5년간 50조 원이 투입되는 도시재생뉴딜사업에서 조경가의 역할은 무엇일까?

지난 15일 (사)한국조경사회 주최로 열린 ‘도시재생과 조경가의 역할’에 대한 세미나에서 정부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인접 분야와 소통 및 협력을 강화할 때 도시재생에 조경가의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도시재생특별법에 ‘조경’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현실에 ‘조경분야는 무엇을 했는가?’라는 지적부터 인접분야와의 소통과 협력강화, 도시재생 인력양성 및 중간지원조직에 적극적인 참여 등의 역할론에 공감대를 함께 했다.

이날 기조발제에 나선 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발전재단 이사장은 ‘지역발전과 도시재생정책 흐름의 이해’에 대해 도시재생에 조경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은 많다고 강조했다.

노령화와 인구감소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조경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안 이사장은 “조경가는 도시재생 중간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역의 조경 관련 단체는 시민사회와 소통과 협업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덧붙여 안 이사장은 “도시재생을 비롯해 마을만들기, 사회적 경제, 지속가능한 발전, 공동체, 지역발전 등은 결코 조경과 무관하지 않다. 전문가로서 조경가가 해야 할 몫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확장 가능성이 큰 조경가의 역할론을 주장했다.

‘부천시 도시재생사업과 조경의 시도’에 대해 발표한 김현 단국대 교수는 도시재생에 조경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 인력양성, 도시재생 관련 학회와 연대감 구축 및 적극 참여, 공원 및 조경의 중요성 대외홍보 등을 통해 도시재생의 진입장벽을 허물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개척형 디자이너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세 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도훈 안산시 희망마을사업추진단장은 ‘도시재생영역에서 조경가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발표에서 청년스타트업 조경가 도전 기회 마련, 조경가 중심의 지역재생회사 역할, 융복합사업에 관심 확대 등을 제언했다.

주제 발표에 이어 주신하 서울여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회에서도 정부정책에 적극적인 참여, 도시재생특별법 개정, 조경의 체질개선, 조경학과 커리큘럼 변경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김연금 조경제작소 울 대표는 “개발시대의 감각으로는 도시재생에서 조경가 역할은 많지 않다.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능력과 답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필요하며, 그 해답은 현장에서 찾아야 한다”고 조경분야의 체질 개선을 주문했다.

계속해서 김 대표는 “소통과 협력의 능력을 키우고, 공적가치를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때 조경은 도시재생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며 조경이 가져야 할 공적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시재생법 개정과 조경학과 교육커리큘럼을 바꿀 것을 제안한 김철홍 (주)도화엔지니어링 상무는 “도시재생특별법에 14개 분야를 명시하고 있지만 조경, 경관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도시재생에서 조경의 현실이다”고 지적하며 법 개정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건축, 토목, 도시,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시재생 관련 국회세미나를 수십 차례 개최했지만, 조경분야는 보이지 않았다”고 조경분야의 소극적인 태도를 질타한 김예성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인접분야와 교류를 확대하고, 이슈를 만들어내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 밖에 황규홍 LH연구원 박사는 도시재생뉴딜사업 중 노후저층주거지사업과 도시농업, 사회적경제조직,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역사문화도시정비사업에서 조경가의 역할을 찾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 안승홍 한경대 교수는 인구감소 등 변해가는 사회적인 환경에서 조경이 참여할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국가정책에 기획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 기조발제에 나선 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발전재단 이사장
▲ 주제발표를 하는 김현 단국대 교수
▲ 주제발표를 하는 김도훈 안산시 희망마을사업추진단장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