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의 개념과 통합놀이터 확산모델 토론회가 지난 19일 서울시청 시민청 태평홀에서 열렸다. 사진은 맹기돈 (사)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 실장의 발제 진행모습.

지난 19일 ‘통합의 가치로 재밌는 놀이터 만들기’를 주제로 통합의 개념과 통합놀이터 확산모델 토론회가 서울시청 시민청 태평홀에서 통합놀이터만들기 네트워크 주최로 열렸다.

이영범 경기대 대학원 교수는 ‘통합놀이터 확산모델’을 주제 발제로 제시하는 자리에서 시설 중심의 사고에서 점차 놀이 중심의 사고 더 나아가 사람 중심의 사고로 변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통합놀이터 인식을 확산하자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시설물 중심의 사고를 가지고는 사회적 인식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 주장했다.

또한 통합놀이는 통합놀이터에서만 가능할 것인가?라는 부분에서는 “그렇지는 않다. 일반 놀이터에서도 가능하다”며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 어린이 부모와 비장애 부모들과 함께했을 때 얻은 결론”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이어 “비장애 어린이들이 아닌 장애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통합놀이가 진행될 경우 비장애 어린이들도 참여가 충분했다”며 “통합놀이터 확산이 통합놀이터를 많이 만들자는 개념이 아니라는 점을 여기서 찾아볼 수 있다”고 말해 기존의 시선을 반대로 본 결과에 대한 긍정적인 부분을 설명했다.

한편 통합놀이터 확산을 위한 과제도 제시했다. 먼저 장애의 유형과 정도, 나이 등에 따른 통합놀이터의 수용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라는 점. 둘째 통합놀이터 내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과 놀이시설 안전기준의 차이를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 셋째 통합놀이터의 상시 지속가능한 관리운영 주체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넷째 통합놀이터 내 비장애 아동의 압도적인 이용으로 인한 장애아동의 놀이 제약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사회가 나서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했다.

‘통합놀이터의 의미와 가치’라는 주제로 발제한 배융호 (사)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사무총장은 “무장애 놀이터는 통합놀이터일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고 전제하며 “통합놀이터형 장애인놀이터는 비장애 어린이도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놀이기구의 설치도 함께 구성되어야 비장애 어린이들이 쉽게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통합놀이터에서의 통합의 의미는 장애와 비장애의 통합, 장애 유형의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계층이 함께 할 수 있는 부분이고, 부모 또는 자녀가 장애가 있든 없든 함께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맹기돈 (사)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 실장은 ‘참여디자인 프로세스와 모니터링’ 발제를 통해 “포털사이트 지도검색에 놀이터를 검색했을 때 소위 말하는 키즈 카페가 주로 검색된다”며 “그만큼 놀이터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지 못한 측면을 볼 수 있었다”고 안타까워했다.

또한 “통합놀이터는 단순히 재미있고 조금 다른 놀이터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은 통합의 개념을 오해하고 있는 것 같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 발제 후 통합놀이터 확산모델에 관해 자유토론이 진행됐다.

김연금 조경작업소 울 대표는 ‘통합놀이터 디자인-예외 사례가 아닌 참조할 수 있는 사례’란 주제로 지난 2년 동안 꿈틀꿈틀놀이터 조성과 이후 모니터링 결과에 대해 발제를 진행했다.

김 소장은 “장애인과 비장애 어린이들이 함께 놀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진행했지만 이용실태를 점검해 보니 곳곳에서 문제점들이 노출돼 개선될 부분이 명확하게 나타났다”며 “전체적으로 장애 어린이들이 이용할 때 현재의 안전규정을 지키는 선에서는 충분히 놀 수 있는 기구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아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이어 “조합놀이대의 경우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 어린이와 부모가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해 램프를 만들어 용이하게 했지만 조합놀이대 내에서 보조자가 항상 근접해야 하는 부분으로 인해 신체적 조건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용하는 게 쉽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며 현재의 통합놀이터가 완성된 부분이 아닌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만큼 통합놀이터가 장애어린이를 위한 놀이터가 아니라 함께 노는 놀이터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관련 규제는 물론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간극을 좁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어필했다.

발제 이후 소준영 부천대 실내건축학과 교수의 사회로 조한진 대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비롯해 오순환 (사)한국조경사회 자문위원, 이영범 경기대 대학원 교수, 김아연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 장현아 함께가는마포장애인부모회 회장, 조금선 서울시설관리공단 대리, 김연금 조경작업소 울 대표의 자유토론이 진행됐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