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몇 년 사이 낙후됐던 옛 도심이 번성해 사람들이 몰리자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기존 원주민들이 밀려나는 이른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서울시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선제적·체계적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 서울 전역의 젠트리피케이션 흐름을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정책지도 개발에 착수한다.

또 시와 자치구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세우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업무지침을 마련하고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검토하는 등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논의할 전문가 그룹도 구성한다.

서울시는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한 상생․협력 중심의 바람직한 젠트리피케이션을 유도하기 위해 이와 같은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5월 중으로 연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용역은 연내 완료할 계획이다.

시는 정책지도 개발 방안 연구와 정책방향 논의 등 두 갈래로 용역을 수행할 기관·단체를 경쟁입찰 방식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이로써 도시재생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관심과 창의적인 능력이 있는 기관·단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선 정책지도 개발은 지난 10년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등 주요지역을 포함한 서울시 전역의 인구이동, 부동산거래 등 다양한 빅데이터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할 예정이다.

정책지도를 통해 각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모니터링하고 추이를 예측함으로써 선제적인 대응방안 마련이 가능해지고 체계적인 도시재생정책 수립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논의할 전문가 그룹은 건축·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실무진으로 구성한다.

이들은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주민협약 체결 등에 활용 가능한 업무지침을 마련하고 주거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자생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정책사업을 발굴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한편 서울시는 그동안 시가 발표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방안을 매뉴얼 형식으로 정리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별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기본지침’을 마련,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이 진행 중인 자치구와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지난 4월 말 배포했다.

기본지침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유형과 지역 특성에 따라 5개 지역(①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 ②쇠퇴·낙후 산업지역 ③역사·문화·관광 특화지역 ④이면주거지형 노후주거지역 ⑤생활가로형 노후주거지역)으로 구분하고 젠트리피케이션 대책을 4개 그룹(A. 소통 및 공감대 형성 B. 시장동향 및 대응체계 구축 C. 적정임대료 및 영업기간 보장 D. 규제를 통한 속도조절 유도)으로 나눠 각 자치구가 지역특성과 목표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시는 각 부서별로 산재해 있는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방안들을 한 데 모아 정리함으로써 자치구와 관련 기관들이 쉽게 확인하고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세울 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본 지침을 마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상생·협력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서울형 도시재생 차원의 차별화 된 접근을 통해 침체된 도시에 활력을 주고 함께 잘 사는 지역문화 실현의 토대를 구축해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