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논문 요약

Ⅰ. 서론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급속한 경제발전과 도시로의 인구 집중으로 도시가 확장됨에 따라 자연이 훼손되고 생활환경이 열악해지면서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조경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주거단지 주변에는 자연성을 도입하였으며, 이때 조경수목의 식재는 도심 환경에서 필요한 자연성을 회복시켜준다. 조경식재는 대부분 이식 수목이 그 대상이 되며, 수목이 원래 식생하고 있던 곳에서 그 수목이 있어야 하는 새로운 장소로 옮겨 심는 것 즉, 이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식의 요체는 수목 원래의 수형과 생리, 생육상태를 새로운 이식 환경에서 최대한 조기에 활착시키는데 있다.
고무밴드가 이식 후 이식 수목의 활착과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며, 또한 고무밴드의 분해에 따른 토양환경오염 등의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수목 이식 하자의 원인 가운데 시공 시 뿌리분의 손상으로 수목이 고사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연구는 조경수목 이식 후 뿌리분 결속재로 사용되는 고무밴드가 근계발달 및 활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소나무와 반송을 공시 수목으로 사용하여 고무밴드 미제거 시험구와 고무밴드 제거 시험구를 설치하고 각 시험구의 생장량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조경수목 이식 시 고무밴드 결속재를 제거하지 않고 식재하는 것이 이식 후 하자발생과 직접적 연관성이 없다는 해석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Ⅱ. 이론적 고찰

1. 고무밴드 결속재와 수목고사의 원인에 대한 일반적 인식
산림청(2007)은 뿌리분 결속재료의 미제거시 미치는 영향 및 대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식재 시 분 깨짐으로 인한 하자율을 줄이기 위해 고무밴드를 제거하지 않은 채 식재를 하고 있지만, 이것은 단기적으로 하자율을 줄일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수목생육 및 토양환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하였다. 환경부에서는 고무밴드가 조경수목 이식 작업상 제거가 곤란하거나, 조경수목 생육을 위해 제거하지 않으면 폐기물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것은 뿌리분 결속재로서의 고무밴드가 수목 고사의 주요 원인이 아닐 수 있다는 견해라고 생각된다.

2. 뿌리분 결속재 종류 및 사용기준
국내에서는 고무밴드를 사용하되 이식 시 이를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기준이 있지만, 공사현장에서는 설계변경이나 타 시설물에 의한 식재위치 변경 등으로 정식한 수목을 재이식해야 할 때 고무밴드가 제거된 이식 수목의 뿌리분은 파손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고무밴드를 제거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뿌리분을 녹화마대로 감싼 후 줄 감기 시 사용되는 결속재료는 새끼, 녹화끈, 고무밴드, 철선 등인데, 고무밴드가 새끼나 녹화끈 등의 결속재료보다 사용상의 장점이나 수목 활착의 방해 요인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논란이 되고 있음에도 현재까지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3. 고무밴드 결속재의 사용역사 및 특성
1987년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개정 이전에는 뿌리분 결속재로 새끼, 거적, 가마니, 비닐끈 등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1978년과 1985년에 개정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는 새끼, 거적, 비닐끈 등의 결속재료와 함께 사용기준이 명시되어 뿌리분 결속재는 식재 시 제거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조경 식재공사의 하자사례를 분석한 연구에서 뿌리분을 감은 새끼를 제거하지 않아서 수목 고사가 발생한 것이 조사되었는데, 이를 통하여 80년대 중반까지는 주로 새끼를 뿌리분 결속재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1987년 개정된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서는 결속재료에는 고무밴드가 없지만 분뜨기 작업에 대한 해설에서는 대형목의 뿌리분은 가마니를 싸준 후 철선이나 고무줄로 견고히 감도록 하고 있었고, 수목의 굴취 시 고무밴드를 포함한 뿌리분 결속재들을 유지하고 있는바, 1980년대 중반 이후에 뿌리분 결속재로 고무밴드도 사용됐음을 알 수 있다.

Ⅲ. 재료 및 방법

1. 공시수목
본 연구는 조경수목 이식 시 뿌리분 결속재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고무밴드의 제거 여부가 근계발달 및 활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두 가지 실험을 하였다. 노지시험의 공시수목은 소나무를 사용하였으며, 포트시험의 공시수목은 반송을 사용하였다.
소나무는 조경식재에서 이식 후 활착률이 낮고 대형목 이식량이 많은 수종이기 때문에 선정하였으며, 이식할 소나무는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제비리 소재 임야에서 생육상태가 양호한 20주를 선정하여, 시험포장에 정식하였다. 공시 소나무의 규격으로 수고는 2.5∼3.0m, 근원직경은 7∼10cm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분크기는 근원직경의 4배로 하였다. 또한, 고무밴드 제거 여부에 따라 뿌리의 생장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공시 반송의 규격은 수고는 0.5∼0.6m, 수관폭은 0.6∼0.7m인 것을 사용하였다.

2. 고무밴드
뿌리분의 고무밴드 감기방법은 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노지시험의 소나무 뿌리분은 시공현장에서 실시되는 방법에 따라 뿌리분 표면적의 약 20%를 차지하도록 결속하였으며, 고무밴드는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 따라 폭 30mm의 시판용 제품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포트시험의 반송 뿌리분 감기에서 고무밴드의 영향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하여 뿌리분 표면적의 약 70%를 결속하였다.
고무밴드는 탄성과 인장강도가 다른 재료들보다 우수하여 뿌리분을 감는 도중이나 감고 난 후 쉽게 끊어지지 않고 결속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어서 결속재료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또 고무밴드는 재생고무를 활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재료비가 절감되며 보관이 쉽기 때문에 이용 및 관리면에서 새끼나 녹화끈보다 많이 이용되고 있다.

3. 시험방법
1) 노지시험

연구기간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이며, 본 연구를 위한 시험은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 398-2번지 소재하는 시험포지에서 실시하였다. 생육상태가 양호한 15년생 20주 중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를 각각 10주씩 완전임의배치법으로 배치하였으며 지상부 생장량과 발근량을 조사 비교분석 하였다.

2) 포트시험
포트시험의 공시수목은 반송이며, 근계발달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투명 포트에 식재하여 충분히 관수 후, 시험구 배치는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를 각각 반복, 완전임의배치법으로 배치하였으며, 노지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장량을 조사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1. 노지시험의 근계발달 및 활착
1) 노지시험에서의 수고 생장률은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는 각각 27.4%, 26.5%로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0.9%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근원직경과 평균 신초 생장률은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 각각 근원직경 52.3%, 59.4%, 평균 신초 생장률 47.4%, 50.5%로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근원직경 7.1%, 평균 신초 생장률 3.1% 더 낮게 나타났으며, 엽록소 함량은 고무밴드 미제거구 평균 23.4, 고무밴드 제거구 평균 16.6으로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6.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노지시험에서의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비교하면 각 시험구별 생체중은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1,740g, 고무밴드 제거구는 1,433g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307g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건물중은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522g, 고무밴드 제거구는 450g으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고무밴드 제거구에 비해 72g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포트시험의 근계발달 및 활착
1) 포트시험에서 평균 신초 생장률은 고무밴드 미제거구 82.38% 고무밴드 제거구가 83.49%로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1.11% 더 낮게 나타났으며, 엽록소 함량은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 각각 평균 31.99, 31.97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0.02 더 높게 나타났다.
2) 포트시험에서 지하부의 뿌리분 표면적 발근수를 비교해 보면,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는 각각 252EA, 253EA로 고무밴드 미제거와 제거구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적 발근길이는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657cm, 고무밴드 제거구가 572cm로 고무밴드 미제거 시험구가 85cm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부의 건물중 측정결과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는 각각 5.7g, 3.3g으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2.4g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조경수목 이식을 위한 분뜨기 결속 소재인 고무밴드 제거 여부가 수목 생장의 차이가 없다는 것은 뿌리분 결속재로 사용되는 고무밴드가 조경수목 이식 시 활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동안 고무밴드 결속재가 수목의 생육과 토양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측만으로 이식 후 하자원인의 대부분이 고무밴드 미제거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분뜨기 결속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고무밴드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식재되더라도 초기 생육 및 근부발달에 유의할 수준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고무밴드 결속재와 이식 수목의 활착에 대한 영향을 시험적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시사 하는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또한, 토양환경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수목 생육 영향에 대한 과학적 실험을 시도한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시험기간은 4년이었으므로 장기간의 부식에 따른 토양 영향과 이때의 토양 및 수목 생장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공시수목으로 소나무 일종만을 시험하고 활엽수종은 시험하지 못한 것, 생장량 측정에서 지하부의 뿌리 생장량은 매년 측정이 곤란하여 1회 측정한 것은 연구의 한계점으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조경수목 이식 후 활착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만 실험한바, 추후 고무밴드 감기의 적정량을 도출해 내는 연구를 통해 조경식재공사 시 효율적으로 뿌리분 결속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을 계속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인용문헌
1. 산림청(2007) 합리적인 조경수 조성·관리 및 생산·유통 개선 방안
2. 안봉원(2007) 조경양식의 변화, 조경수 40년사. (사)한국조경수협회
3. 김윤제(1991) 조경식재공사의 기술적 문제점.
4. 한국조경신문(2008) 썩는 고무바, “나무 좋고 업자 좋고”, 8호, http://latimes.kr
5. 박현(2007) 조경수목 이식 시 고무밴드가 활착에 미치는 영향
6. 이대성(1982) 조경공사 하자에 관한 연구, 식재공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건설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1987)
8. 윤여원 등(2004) 지반보강재로서 폐타이어의 활용
9. 김태용, 고한강(1997) 폐타이어의 건설재료로서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제8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