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술자격 확대 시행으로 조경학문과 산업의 붕괴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사)한국조경학회에 대한 질타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6일 열린 ‘한국조경학회 제2차 이사회’에서 이규석 성균관대 교수는 조경기술자격 기준과 관련해 “6월 말에 고시했는데 이제 인지했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지적하며 “이는 중앙부처에 조경부서가 없기 때문이며 조경학회가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계속해서 이 교수는 “산림기술자 관련법은 빨리 막아야 하며, 조경기술자격 기준은 2년 또는 5년을 기다릴 게 아니라 빨리 개정될 수 있도록 학회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며 강력한 드라이브를 주문했다.

그러나 조경학회 움직임은 신속하거나 역동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지난 6일 열린 ‘한국조경학회 이사회’에서는 전체 이사 319명 가운데 참석자는 34명뿐이었다. 이마저도 환경복원기술학회 이사회와 겹쳐 조경계 현안 논의 때는 10여 명만 참석했을 뿐이다. 이사회에 참석한 관계자 역시 “참석자가 없어도 너무 없다”라는 자조 섞인 말을 내뱉을 정도였다.

지난달 말 김성균 조경학회장은 조경기술자격 확대와 산림기술자 관련법에 대한 대응책을 이사회 논의를 거쳐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날 이사회에서 조경계 현안에 대한 논의는 총 20분이 전부였다. 경과보고 10분을 제외하면 10여 분 남짓 두 명의 발언자가 있었을 뿐 환경복원학회와의 공동총회 일정으로 중단되고 말았다.

현안에 대한 조경계가 느끼는 심각성을 고려한다면 ‘조경학회 이사회’의 저조한 참석률은 무관심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준다. 특히 조경기술자격 확대문제는 조경학과 학생들에게 피해가 전가될 가능성이 큰 사안이고, 학생들 불만이 커지는 과정이기에 조경학회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했다.

조경계 관계자는 “지난달 말 긴급회의에서 학생들에게 직접 피해가 우려되는 사안인 만큼 조경학회가 로드맵을 짜면 관련 단체가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조경학회는 집행부 회의와 국토부 관계자 면담 후 공문 보내는 것과 서명운동 외에 특별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소극적인 대응을 꼬집었다.

이어 그는 “적어도 학생들의 미래를 책임지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학회가 나서서 학과장회의를 주관하는 등 교수사회에 심각성을 공유하고 대응책을 마련했어야 한다”며 비판의 소리를 높였다.

한편 김성균 회장은 이사회에서 경과보고를 통해 “조경기술자격 기준의 개정을 요구했으며, 관련 기준은 시행 후 2년 혹은 5년 이내 개정이 가능하다”며 “국토부의 산림기술자 관련법 제정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서와 산림청에 산림기술자격을 개방할 것을 요구하는 공문을 전달하기로 했다”고 면담 결과를 전했다. 이어 김 회장은 “향후 관련 내용을 공문으로 작성해 국토부와 산림청에 보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