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동리윗습지(충남 아산시)

보전가치가 높은 생물이 서식하는 ‘절대보전 습지’ 12곳 등 습지 274곳이 새로 발견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을 서해1, 서해4, 서해5, 충청1, 충청3, 동해2, 경상2 등 총 7개 소권역으로 구분해 내륙습지 현황을 조사한 결과 274개 습지를 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새로 확인된 습지는 ‘절대보전’이 필요한 Ⅰ등급 습지 12곳(4.4%), ‘보전’이 필요한 Ⅱ등급 습지 83곳(30.3%),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이 가능한 Ⅲ등급 습지 147곳(53.6%), ‘복원 혹은 이용’ 가능한 Ⅳ등급 습지 32곳(11.7%) 등이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산지형이 107곳(39.1%)으로 가장 많고, 인공형 66곳(24.1%), 하천형 52곳(19.0%), 호수형 49곳(17.9%) 순이다.

산지형이 많이 발견된 이유는 대부분 해발 100~200m 내외를 이루고 있고, 간척지와 산간계곡 주변에서 묵논습지가 발굴됐기 때문이다. 묵논습지는 휴경 된 논이 인간의 간섭없이 방치되어 자연적으로 형성된 습지를 일컫는다.

특히 이번 조사를 통해 충남 논산시 장판고개습지, 구당습지 등 9곳의 습지에서 독미나리, 가시연꽃 등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 2종을 비롯해 식물구계학적으로 특정식물 Ⅴ등급인 통발, 낙지다리, 자라풀 등 보전가치가 높은 주요 습지 식물종의 서식처를 확인했다.

이번 ‘2014년 전국 내륙습지 일반조사’는 환경부의 ‘습지보전기본 계획’의 세부 실천 과제인 ‘제3차(2011~2015년) 전국내륙습지조사 기본 계획’에 따라 전국을 3개 대권역, 30개 소권역으로 나눠 소권역별로 생물, 무생물, 인문·사회, 습지평가 등 4개 분야에 걸쳐 연도별로 추진해온 결과물이다.

이 조사를 통해 2011년에 150곳, 2012년 292곳, 2013년 258곳의 습지를 확인했으며, 지난해 274곳을 포함해 지난 4년간 총 974곳의 습지를 확인했다.

김태규 국립습지센터 연구사는 “이번 조사로 확인된 개별습지의 분포, 면적, 서식 생물 종 정보 및 인문·사회 환경에 대한 자료는 국립습지센터 누리집(www.wetland.go.kr)을 통해 공개할 계획”이며 “발견된 습지에 대한 변화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습지등급이 Ⅰ∼Ⅱ등급으로 평가된 생태우수습지에 대해서는 추가로 정밀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습지유형·등급별 평가결과
조사 습지등급* 습지유형 합계
권역 산지 호수 하천 인공
서해1 0 2 23 0 0 7 8 10 25
서해4 2 18 46 2 16 14 14 24 68
서해5 0 1 4 8 0 0 12 1 13
충청1 5 18 34 0 30 22 2 3 57
충청3 4 20 19 5 47 0 1 0 48
동해2 0 23 13 2 6 6 15 11 38
경상2 1 1 8 15 8 0 0 17 25
합 계 12 83 147 32 107 49 52 66 274
*습지등급:Ⅰ급(절대보전), Ⅱ급(보전), Ⅲ급(보전 및 현명한 이용), Ⅳ급(복원 혹은 이용)

 

습지평가 1등급 습지 목록
차례 권역 습지명 습지등급
1 서해4 학암포작은습지 1
2 학암포큰습지 1
3 충청1 흑석제습지 1
4 완주운곡습지 1
5 구당습지 1
6 장구봉습지 1
7 사장골습지 1
8 충청3 산동리윗습지 1
9 구암리습지 1
10 강당리습지 1
11 용설리습지 1
12 경상2 옥천리습지 1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