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절차는 끝났고, 이제는 카운트다운만 남았다. 2015년 9월 5일 오후 5시, 순천만정원 잔디마당에서의 기쁨과 환희의 그림이 벌써 눈앞에 그려진다.

‘도시에 그린(GREEN) 대한민국 순천만국가정원 선포식’.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와 이낙연 전남지사, 조충훈 순천시장, 2만여 명의 시민이 함께한 가운데 선포식이 열린다.

순천만정원은 순천시 풍덕동 70번지 일원 92만 6992㎡ 규모로 2014년 4월 20일 정식 개원했다. 순천에서 국제정원박람회가 열린 건 2013년 4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6개월간. 박람회를 마치고 딱 1년이 지난 뒤, 박람회 때 미흡했던 시설보강과 프로그램 콘텐츠 강화로 2014년 4월 20일 순천만정원은 정식 개원했다. 이후 2014년 12월 29일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했다. 순천만은 올해 7월 27일 전남도 지방정원 등록증을 받고, 국가정원 승격을 위한 산림청 현지 실사까지 마쳤다.

‘대한민국 생태수도’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건 정원도시 순천. 순천은 세계 5대 연안 습지인 순천만의 지속 가능한 보전을 위해 힘쓰고, 선진국형 녹색 도시 이미지를 세계에 퍼뜨린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에서 해방되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끊임없이 성장해왔고, 앞만 바라보며 달려왔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은 세계 선진국 대열에 들었으나, 되풀이되는 내면의 아픔 또한 켜켜이 쌓였다. 이런 아픔을 치유하고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웰빙과 힐링이 중요시되고 있다. 그리고 정원은 이 두 가지를 모두 담아내고 성장통을 어루만져주는 데 중심에 있다.

순천만국가정원으로 이름이 바뀌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너도나도 앞다퉈 공원과 정원을 만들고 있고, 한 달 뒤 도시공원 일몰제 시행을 앞두고 급급하게 무늬만 공원, 무늬만 정원을 공장에서 찍어내듯 만들어놓기에 급급하다. 과연 이런 공원과 정원이 그 지역 주민들에게 힐링과 웰빙의 공간으로 자리하는 제 역할을 해낼 수 있을까.

이러한 의미에서 순천만정원의 국가정원 승격과 지난 10년간 공원 조성 하나 하지 못한 각 지자체의 어리석음이 교차한다. 물론 공원 예정지로 묶인 사유지를 가진 사람들, 개발을 추구하는 단체장은 빨리 해지되기만을 바라는 마음일 것이다.

7월 말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인당 공원면적이 가장 넓은 울산은 16.3㎡이고, 전국 평균은 7.4㎡로 나타났다(2009년도 기준). 런던은 24.1㎡, 베를린은 24.5㎡에 비하면 크게 낮은 실적이다. UN이 올해 4월 23일(현지시각) 발표한 ‘2015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158개 국가를 상대로 국민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10점 만점에 총 5.984점으로 47위를 기록했다고 한다. 히말라야 산자락에 있는 인구 75만 명, 1인당 국민소득(GDP) 2700달러(약 350만 원)인 부탄은 국토의 절반이 국립공원이고, 60%는 개발 없는 자연상태로 두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나라 부탄이 행복지수 국가 1위라는 것은 개발에만 눈먼 우리나라에 많은 교훈을 준다(유럽 신경제재단 2010년 국가별 행복지수).

순천만국가정원은 2016년 초 시행을 앞둔 조경진흥법이라는 항로에 이제 국가정원이라는 큰 돛을 달았다. 이 배가 순항하기 위해서는 물이 고이지 않도록 꾸준히 관리해줘야 할 것이다. 이 관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몫이다. 지방정부는 지역민의 외침을 외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논설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