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중앙공원이 계속 시민들 휴식공간으로 남기 위해서는 국가공원화하는 방안이 가장 최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중앙공원의 국가공원 조성을 위해서는 시민의 적극적인 관련법 제정 운동과 정치권,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 광주광역시의 중앙공원이 계속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남기 위해서는 국가공원화하는 방안이 가장 최적이고 이를 위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천정배 국회의원실과 (사)동북아전략연구원 부설 호남의 희망이 공동으로 광주 중앙공원의 해법 모색을 위해 마련한 토론회가 지난 15일 오후 광주광역시의회 회의실에서 열렸다.

‘중앙공원,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는 오는 2020년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일몰제 시행으로 중앙공원 개발 제한이 해제될 경우를 대비해 중앙공원을 어떤 방법으로 존치시킬 것인가에 대해 활발한 토론이 열렸다.

천정배 의원은 인사말에서 “5년 후 개발행위 제한이 풀리면 사유지가 73% 이상을 차지하는 중앙공원의 경우 더는 시민 휴식공간으로 남기 어려울 것이다. 오늘 토론회가 광주광역시의 허파이자, 시민들 쉼터인 중앙공원을 시민들에게 돌려줄 수 있는 좋은 방안을 논의하는 뜻깊은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사회자인 은우근 호남의 희망 연구소장의 열띤 토론 주문이 이어진 가운데 기조발표에 나선 류영국 한국도시설계학회 광주·전남지회장은 “중앙공원을 계속 존치하려면 70%가 넘는 사유지를 매입해야 하는데, 토지매입 비용만도 4600억 원이 넘게 든다. 결국 공원조성비 등을 포함해 1조 원 이상 비용이 드는 만큼, 국가 예산을 들여 공원을 유지하는 방안이 가장 이상적이다”고 말했다.

이명규 광주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국가공원화를 위해서는 더욱더 적극적인 새로운 형태의 시민운동이 필요하다. 만약 국가지정 공원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면, 민자 유치로 비용을 분담하는 형태의 공원 조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황석근 중앙공원을 사랑하는 모임 회장은 “중앙공원의 국가공원화는 정치권에서 풀어야 한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발의한 국가도시공원 조성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달라”고 주문했다.

노원기 광주광역시 공원녹지과장은 “1년 예산 3조3000억 원의 광주시 재정으로는 중앙공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100만㎡ 이상 공원은 국가에서 매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정배 의원은 “중앙공원을 국가공원화하는 법을 만드는 일은 국회에서 하지만, 사실 예산을 편성하는 권한은 정부에 있다. 결국 시민이 국가공원화법을 지지하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투표해 입법부, 행정부에서 이 법을 제정·집행하도록 행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