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설악 케이블카 설치를 위한 공원계획변경 신청이 며칠 전에 환경부에 제출되면서 또 다시 논란에 섰다. 이미 이곳은 두 차례나 반려된 적이 있어서 이번이 세 번째 신청이 된다.

작년 10월 박근혜 대통령이 평창올림픽 준비과정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대회운영의 방향을 제시하며 “다양한 볼거리를 통한 문화콘텐츠와 선수들을 위한 경기지원시설, 케이블카 등을 구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세심하게 준비해 세계인들의 기억에 오래 남는 대회가 되어야 한다.”고 언급한 것에 힘을 얻은 듯하다.

국내 관광용 케이블카 21곳 중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는 곳은 경남 통영의 한려수도 조망 케이블카이다. 2008년 4월에 개통된 통영 케이블카는 매년 120만여 명이 탑승을 하며 지난해까지 누적 매출 646억 원을 올렸다. 인구 13만 명의 소도시 통영에 안겨주는 경제 유발 효과는 한 해 1천500억 원으로 추산된다하니 황금 알을 낳는 케이블카라는 말이 나온다.

이러다보니 전국 지자체들이 너나없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고 있고 환경훼손 논란 등으로 찬반 논란이 심화되어 지역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카가 설치된 곳이 모두 통영처럼 활성화 된 것이 아니라 적자에 허덕이는 곳도 있어서 사회적 부작용만 양산하는 경우도 많다. 경남 밀양의 얼음골 케이블카는 초기에는 인기를 끌다가 불법 건축물과 산림훼손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재개장을 하였으나 이미 애물단지로 전락한 생태다.

어렵사리 케이블카 설치를 한다 해도 운영수익을 보장할 수 없고 활성화가 되면 교통체증, 주차난 등의 생활환경 저하에 대한 불이익이 따르게 된다.

한국조경신문 지상에서도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를 놓고 의견이 갈렸다. 본보 314호에서 경남과학기술대 조경학과 강호철 교수가 “자연환경을 대상으로 전개되는 대부분의 사업은 절대적으로 서둘지 말아야 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존중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보다 효율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고 개발사업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며 정부가 산지관광 활성화를 이유로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확대 방침에 우려를 표한 바가 있다. 4대강 개발사업이 남긴 교훈을 망각하지 말고,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고, 국립공원도 흠 없이 살필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경관제작소 외연 정주현 대표는 본보 316호를 통해서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는 “지극히 선형적 시설로 점적 훼손이 극히 일부만 있는 것”이라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저감 방안 파악 등의 검토가 오래 걸리는 것에 대해 의문을 나타내기도 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시설이며, 조그마한 건축물이 산의 상부에 입지하는 것 말고는 자연훼손이 국립공원 전체면적 대비 점 훼손 수준”이라며 강호철 교수의 우려에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두 차례의 사업 반려를 통하여 정부 지침과 가이드라인에 적합하도록 계획했다는 남설악 케이블카 사업과 멸종위기의 산양서식지 파괴와 승강장에서 등산로로 무단 진입하는 설악산 등반객의 행태에 대한 우려가 맞물리면서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남설악 케이블카 사업이 환경보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만한 솔로몬의 지혜는 정녕 없을까?

울산 신불산을 비롯한 많은 케이블카 설치 사업이 줄지어 계획되고 있지만 찬반양론이 지역의 양분을 심화시키고 있다. 외국의 유명한 산악관광지에 잘 운행되고 있는 케이블카는 어떤 과정을 통해서 환경보전과 개발이 양립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 김부식(본사 회장·조경기술사)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