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메워 육지로 만들었던 간척사업이 위축 될 전망이다. 충청남도가 연안과 하구를 복원하는 ‘역간척’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충청남도는 ‘역간척’으로 알려진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도는 7일 도청 재난종합상황실에서 허승욱 정무부지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특별위원, 자문단, 도와 시·군 관련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청남도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연구용역은 보령·아산·서산·당진·서천·홍성·태안군 등 서해안 7개 시·군에 있는 방조제, 폐염전 등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재평가를 거쳐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시설물을 찾아 복원 방안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도내 279개 방조제(하굿둑)와 폐염전, 방파제, 해수욕장의 해빈(파도나 연안류가 만든 퇴적지대), 해안사구 현황을 조사한 뒤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 중 방조제의 경우는 설치 목적과 위치, 규모, 수혜면적, 저수량, 유입량, 방류량, 주변 토지 이용 현황, 용수 이용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또 연안 및 하구, 폐염전 복원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고, 복원 대상지 선정 기준과 원칙, 시설별 복원 방법, 도내 복원 방향 등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방조제의 당초 기능과 용수 이용체계 및 농업·공업용수 공급 능력, 홍수 관리 기능, 주변 토지이용 현황, 시설물 기능 등을 재평가한 뒤, 원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생태 복원이 용이한 시설을 복원 가능 대상지로 발굴하게 된다.

발굴된 복원 가능 대상지에 대해서는 비용과 절차, 소요기간, 시행 주체, 이해 관계자, 관련 법령 적용, 효과 등 타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업 대상지까지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한 복원 사업 대상지는 수질개선이나 갯벌 환원, 어장어획물 증대, 해안 지형변화 방지, 관광 가치 증대 등 구체적인 복원 목표를 설정한 뒤 적용 가능한 복원 방안을 제시하고 적합성을 검토하며, 각 방안별 시물레이션을 통해 실행 가능성도 평가하게 된다.

이어 복원 대상지별로 비전과 목표, 최적의 방법, 행정적 절차, 이해관계자 간 갈등 해소 및 협력 방안, 소요 사업비 확보 방안, 생태·경제적 기대효과 등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

이밖에 ▲복원 가능 대상지에 대한 생태·환경 모니터링 실시 ▲연안과 하구 복원을 주제로 한 각종 토론회 및 심포지엄 개최 ▲주민 참여에 기초한 민관 파트너십 체계 구축 방안 ▲농어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민 소득사업 및 프로그램 ▲서해광역해양생태계 지원 사업 및 국가 지원 사업 등도 찾을 예정이다.

연구용역은 (주)이산과 충남발전연구원이 내년 8월까지 18개월 동안 수행하게 된다. 연구용역 이후에는 시범 대상 시설 복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2017년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허승욱 충남도 부지사는 “연안 및 하구는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며 높은 생산성과 생물 다양성으로 자연생태계 중 가치가 매우 높음에도 간척사업 등 개발로 생태 환경이 크게 훼손돼 있으며, 농업용수 확보와 농경지 염해 방지를 위해 설치한 방조제는 담수호 수질 악화, 토사 퇴적, 수자원 감소, 수질 관리비용 증가 등을 불러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복원 대상과 최적의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연구용역을 계획대로 세밀하게 추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