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인천광역시가 지방직 공무원 채용계획을 발표함으로써, 올해 우리나라 17개 광역시도의 지방직 선발 규모가 윤곽을 드러냈다.

2006년 지방공무원법이 개정되면서 당시 조경계 최대 숙원사업이던 조경공무원 제도가 신설되었으며, 2008년부터는 본격적인 채용이 시작되었다. 첫해는 9개 시도에서 녹지직렬 내 조경직류 78명을 선발했으며, 지난 8년 동안 7급 14명을 포함해 모두 462명의 지방 조경직 공무원을 선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17개 시도 가운데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는 지금까지 단 한 명의 조경직 공무원도 채용하지 않은 채, 지방공무원법 개선 전과 다름없이 산림자원직 공무원 채용으로 일관하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은 대도시이거나 관광리조트 산업이 활성화돼 어느 지역보다도 공원 녹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림자원직 공무원만 뽑아 조경업무에 편법 투입함으로써 능률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지방직 녹지공무원 시험과목을 보면, 국어·영어·한국사 등 공통과목을 제외하고 ▲조경직류는 조경학·조경계획 및 생태계관리 ▲산림자원직류는 조림·임업경영이다. 이에 따라 광주·울산·제주에서는 조경분야 행정가의 꿈을 꾸기 위해서는 ‘조림·임업경영’ 시험과목을 공부해야 하는 상황이다.

조경직 공무원 채용을 외면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대체로 “굳이 조경직류를 채용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울산광역시 녹지공원과 담당자는 “인사담당부서에서 결원에 따른 채용을 관례적으로 하다보니 그런 것 같다”고 책임을 미뤘으나, 총무과에 확인해 본 결과 “해당 부서에서 특별히 조경직류에 대한 요청이 없었다”고 밝혔다. 광주광역시 공원녹지과 담당자는 “부서에 권한이 없지만, 산림자원직류로 뽑는다 해도 조경학과 출신들이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업무 추진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조경신문을 통해 이 같은 8년간의 지방직 조경공무원 채용 현황이 전해지면서 한국조경학회 등도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김성균 회장은 “각 지역회장들과 연계해서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