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서울시가 이견을 좁혔다.

그동안 정부는 미군기지 이전재원 3조4000억 원 마련을 위해 산재부지 3개 모두 용적률 800%를 적용해 고밀도 개발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었으나, 서울시는 남산 조망권을 확보하기 위해 유엔사와 수송부 2개 부지의 높이는 70m로 제한해야 한다며 맞서왔다. 하지만 서울시의 주장대로 남산의 경관은 살리면서 대신 다른 산재부지를 더욱 고밀도로 개발하기로 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을 변경 고시하면서, 용산공원을 6개의 단위공원으로 조성하려던 기존 안을 접고 생태축을 따라 단일공원으로 통폐합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본체 부지 주변에 있는 3개의 산재부지 18만㎡에 대한 개발 구상도 수정됐는데, 미군기지 이전 재원 3조4000억 원 마련을 위해 산재부지 용도를 당초대로 일반상업지역으로 하되, 경관 등 주변 도시여건을 감안해 서울시와 협의를 통해 산재부지별로 용적률 상·하향 조정 등 신축적인 개발을 추진하기로 한 것이다.

그런데 이후 산재부지 개발과 관련해 LH는 고밀도 개발을 원한 반면, 서울시는 산재부지 중 유엔사와 수송부 지역은 남산 조망을 70% 이상 가리지 말아야 한다는 원칙을 밝히면서 공원 개발이 잠시 주춤하는 듯했다.

하지만 최근 서울시의 주장대로 유엔사 부지에 들어설 건물의 높이를 70미터로 낮추고, 대신 캠프킴을 더욱 고밀도로 개발하며, 캠프킴 고밀도 개발을 통해서도 미군기지 이전재원 조달이 어려울 경우에는 서울시가 수송부 부지의 용적률을 높이는데 협조하기로 해 다시 용산공원 개발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이로써 오는 4월이면 드디어 용산공원 조성을 위한 첫 삽을 뜨게 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유엔사, 캠프킴, 수송부 등 3개 산재부지 가운데 현재 비어있는 ‘유엔사 부지’를 가장 먼저 개발하게 된다. 이미 개발 방향이 합의된 지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캠프킴 부지를 ‘용적률 800% 이하’ 기준을 적용해 고밀도로 개발한다. 하지만 현행법이 허용하는 최대치인 용적률 ‘1300% 이하’ 기준을 적용해 개발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캠프킴의 초고층 고밀도 개발이 알려지면서 이곳에 대한 투자나 개발 방향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800% 용적률이 적용될 경우 50층 빌딩이 8개나 들어 설 수 있는 규모인데다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해 여러 가지 지원들이 이뤄질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편에서는 고밀도 개발로 인한 조망권 침해, 일조권 침해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