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녹화 대 태양광에너지 정책방향 토론회’가 열렸다.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에서 최근 옥상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활용하는 시설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옥상녹화의 선택에서 각계의 의견을 모아보고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와 푸른도시국이 각각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조화를 꾀하고자 하는 취지다.

작년 말에 서울 ‘암사정수센터’의 옥상녹화를 하려던 계획이 태양광시설로 바뀌는 갑작스런 정책의 변경으로 혼돈을 가져왔다. 백지화된 옥상녹화시설의 설치를 주장하는 ‘옥상녹화응원단’ 등 관련 학계 업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만5000㎡ 규모의 옥상녹화시설은 태양광 집열판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말았다.

이후 옥상을 활용하는 착한 시도는 환경과 복지라는 이름 아래 옥상녹화와 태양광시설로 양극화 된 모습을 보여 왔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파괴로 인한 후유증을 목도하고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 없는 상태를 인식하였기에 서울시에서는 에너지의 원자력발전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원전 하나 줄이기’를 목표로 에너지 절약과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잘 하는 일이다.

그런데 주지하다시피 서울시의 이런 정책의 어두운 그늘이 암사정수센터에서 생긴 것이다. 암사정수센터 시설 중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지 않은 5개 시설의 지붕에 옥상녹화를 하기로 했다가 갑작스레 이 자리가 태양광집열판으로 뒤덮이게 된 것이다. 암사정수센터는 착공 당시에 국내 최대 고도정수시설로 한강 아리수의 신뢰를 제고하고 고도정수시설과 더불어 태양광발전소와 옥상조경 등 각종 환경시설이 있어서 시민과 학생들의 현장학습 장소로도 활용할 수 있게 계획되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를 한 곳인데 당초 시민과의 약속을 서울시 스스로가 저버린 것이다. 그 이면에는 태양광사업비 전체를 민간자본이 투자하여 생산된 전력을 발전회사에 판매하게 하고 서울시는 매년 1억2500만원을 20년 동안 임대료를 받게 되는 형식으로 서울시의 정책변경이 있었다. 달콤한 민간자본의 투자가 대한민국 최대의 옥상녹화를 삼킨 꼴이 된 것이다.

작년 말에 이러한 사태가 진행되면서 여러 경로의 불협화음이 노출되자 이번에 서울시의회에서 정책방향 토론회를 개최하게 된 것이다. 토론회에서는 모두가 옥상녹화와 태양광발전소의 중요함과 소중함을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암사정수센터의 경우처럼 힘의 논리에 밀리고 예산의 뒷받침이 안 되면 옥상녹화는 계속 뒤로 밀리게 된다. 계획에 있는 것도 없애는 판에 새로 옥상녹화를 하는 데 정책과 예산을 배려해 줄 수 있는지가 의심이 든다.

토론에 참석한 서울시의회 의원의 말대로 2~3년 전에 푸른도시국의 예산이 절반으로 깎이면서 서울시 옥상녹화 지원사업은 꼬리를 감추었다. 반면 옥상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에는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동양철학에서는 인간이 건강하려면 음과 양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된다고 한다. 음과 양 중에 어느 한 쪽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면 아프게 되고 그 편차가 커지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태양광발전과 옥상녹화의 상생을 확인하는 토론회였지만 앞으로 실천이 없다면 공염불이다.

암사정수센터에 옥상녹화를 없애고 태양광발전소를 짓는 것보다 훨씬 좋은 장소는 많이 있다. 한강 시민공원의 주차장을 비롯한 서울시에 산재한 노천 주차장이 엄청나게 넓다. 다른 장소는 얼마든지 있다. 지금이라도 암사정수센터의 옥상녹화는 원래 설계대로 추진되어야함이 옳다.

▲ 김부식(본사 회장·조경기술사)
키워드
#김부식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