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거 예정이던 서울역 고가를 공원으로 조성해 시민들에게 돌려주기 위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공약 사업으로 당시에는 ‘서울역 고가공원’으로 제안됐었고, 이달 초 발표한 ‘서울시정 4개년 계획’에서는 ‘서울역 고가 시민문화공원’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한 달여가 지난 지금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업명칭에서 ‘공원’이 빠진 것이다. 사실 별도의 명칭공모를 진행하고 있는 시점이기 때문에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 일련의 현상들을 보면 그냥 흘려 넘길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서울역 고가 사업계획이 발표된 이후 도로관리과에서 주무부서를 맡아 추진하고 있다. 조경과에서는 시민네트워크 구축 및 홍보 등을 비롯해 준공 이후 시민참여를 통한 운영 및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참여하고 있다.

서울역 고가 자체가 교량이고, 이를 관리하는 부서이기도 할 뿐만아니라 전체 사업비 중 교각의 보수보강비가 72% 이상을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도로관리과의 주무부서는 일정정도 공감이 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도로관리과에서 사업을 추진하면서 공원 명칭이 사라졌을 뿐만아니라 최근 배포되는 보도자료에서도 ‘공원화사업’ 이라는 말이 없다. 대신 서울역 고가에 녹지를 입혀 사람 중심의 시민보행 공간으로 재생시키는 도시재생 사업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디자인이 확정되기 전까지 공원으로 한정 짓기 보다 도시재생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에서 접근하겠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현상설계공모 지침에 참가자격을 ‘건축가’로 제한하려 한다는 우려의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 현상공모 추진위원회’ 위원장을 건축가가 맡게 되면서 그 뜬 소문(?)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직접적인 영향은 없겠지만 최근 서울시의 총괄건축가 선임 그리고 건축직 부사장 등을 감안하면 행정과 현장 모두 건축 중심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우려도 힘을 보태고 있다.

물론 공모지침은 만들어 가는 과정이며, 확정되지도 않았다.
도로관리과 역시 “공모지침 관련해서 확정된 건 아무것도 없다”고 강조한 뒤 “공모지침은 10월 초 추진위에서 논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라고 밝히고 있다.

조경계는 이런 일련의 흐름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조경계 관계자는 “건축직 중심의 인적구조에서 서울역고가를 공원사업이 아닌 도시재생사업으로 추진해 건축 관련 내용을 추가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뤄질 것이다. 그들 처지에서 보면 당연한 것”이라면서 “다만 이번 사업이 고가 상부에 공원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돌려주는 사업인 만큼 조경분야를 무시 할 수는 없을 것이며, 조경계에서는 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템 제안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이 사업이 조경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켜야 한다”며 조경계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총 사업비는 360억 원이다. 사업비 구성은 설계 20억 원, 보수보강 260억 원, 조경 30억 원, 엘리베이터 등 50억 원으로 구성됐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건축을 위한 사업비는 0원이다. 때문에 도시재생 이라는 이름으로 건축사업에 포함시켜 관련 사업비를 확보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결과적으로 이번 사업은 건축이 주도권을 갖고 움직이고 있는 만큼 앞으로 조경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번 프로젝트가 도시재생을 가장한 건축의 영역이 아닌 공원이 중심이고, 조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젝트임을 담아 내고, 이를 홍보하는 건 조경계의 몫이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