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변호인’에서 주인공인 송우석 변호사가 어려운 시절에 아파트 건축공사장에서 잡일을 할 때 거실 분합문 안쪽 위에다 시멘트 몰탈을 바른 후 손가락으로 새겨 놓은 글이 ‘절대 포기하지 말자’다. 그는 변호사가 되어 돈을 벌자 자기가 공사를 했던 아파트에 가서 멀쩡히 잘 살고 있는 주인에게 다자고짜 집을 팔라고 한다. 당시 시세로 2000만 원 하는 아파트 가격의 1/4에 해당하는 500만 원의 웃돈을 더 주고 입주를 한다. 집주인에게 500만 원을 벌고 매물로 나와 있는 아래층으로 이사를 하도록 하는 당근작전이 통했다. 그리고 입주 전에 도배를 새로이 하면서 드러난 글씨를 보고 감회에 젖어서 자녀와 이야기를 하는 장면을 보면 그가 왜 500만 원이나 더 주고 입주를 했는지 이해가 된다.

이 영화가 개봉 한 달 만에 관객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사람 5명중 한사람은 이 영화를 봤다는 것인데 왜 우리는 ‘변호인’ 영화에 열광을 할까? 16대 대통령선거에서 노무현 후보가 얻은 득표수 1201만4277표와 비슷한 숫자로 관람객 숫자가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2002년 12월 19일의 유권자와 12년이 지난 현재의 영화 관람객과는 세대 차이가 많아서 지지자들이 다 영화를 보고 있다는 말에는 설득력이 없다.

이 영화의 개봉 전후의 평점테러, 티켓테러 의혹, 불법영상파일 유포 등 악재도 있었다. 영화 시작 전 자막에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허구임을 알려 드립니다“라고 되어 있지만 전직 대통령의 실화가 스토리의 토대가 되다보니 관심을 끌었다. 어떤 이는 이 영화가 노 전 대통령의 다큐멘터리 같은 감정에 울었고 어떤 이는 사실을 왜곡하여 보수에 대한 반감을 일으키고 있다고 비난한다.

보수나 진보의 각기 다른 의견을 차치하고라도 ‘변호인’은 여러 방면에서 관객들을 힐링시키고 있다는 것이 흥행 성공의 본질인 것 같다. 절망 속에 살고 있어도 희망이 있다는 사실은 지금 절망 속에 사는 우리에게 주는 치유의 메시지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급격한 혼돈 속에 휩싸여 있다. 18대 대선 전후에 불거진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이 잠재워지기는 커녕 국군 사이버사령부까지 연루됐다는 짜증스런 사실이 이어지고 있고, 전 검찰청장의 끝없는 혼외아들 개인정보 유출경위 조사, 검사 해결사 등의 말 같지 않은 이야기에 지쳐가는 판에 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여부로 불안한 마음이 좌불안석이다.

게다가 사상 초유의 1억400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에는 ‘멘붕’상태가 된다. 필자의 유출정보를 확인해보니 ‘성명 주민번호 휴대폰번호 자택전화번호 직장전화번호 이메일 자택주소 직장주소 직장정보 카드번호 유효기간 카드정보 결재정보 신용한도 연소득’ 까지 털렸다! 이 정도면 거의 실신해야할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변호인’이 있으면 좋겠다. 영화에서처럼 “당신의 소중한 돈을 지켜드립니다” 이랬으면 좋겠고 “바위는 죽어있는 것이지만 계란은 살아있는 것이다. 그 계란은 살아서 바위를 넘는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국가란 국민입니다!” 라는 말이 현실이 되면 정말 좋겠다.
이런 날이 올 때까지 여전히 실망스럽지만 그래도 “절대 포기말자”고 권합니다.

▲ 김부식(본사 회장·조경기술사)
키워드
#조경 #김부식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