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841억 원이 투입되는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칭)’ 건립으로 멸종위기종에 대한 증식·복원사업이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간다.

지난 14일 환경부는 각종 개발과 경제성장 과정으로 개체 수가 현저하게 줄어든 야생동식물에 대한 ‘멸종위기종 증식·복원사업’의 성과와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계획을 발표했다.

2006년 6월 국가 차원에서 수립된 ‘멸종위기종 증식·복원사업’은 우리나라 생물 다양성을 제고하고, 생태계 건강성을 회복하고자 만든 종합계획으로 수정과 보완을 거쳐 현재 36종에 대한 증식·복원과 조사·연구를 하고 있다.

현재 야생에서 적응하고 있는 지리산 반달가슴곰과 43마리까지 증식한 월악산 산양, 소백산 방사 여우, 복원에 성공한 조류, 곤충류, 어류, 식물 등이 그 예다.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건강성 확보를 위한 종 복원 사업’ 추진을 위해 건립될 복원센터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외국의 종 복원 사업을 벤치마킹한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을 총괄 관리하고 지원한다.

전문가들은 국·공립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연구소 등에서 추진되는 종 복원 사업에 따라 이를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환경부는 2011년 예비 타당성 조사 결과, 사업추진 타당성을 인정받아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올해 안에 설계용역 발주 등을 하고, 총 사업비 841억 원을 투입해 2016년 말까지 경상북도 영양에 복원센터를 세운다.

복원센터는 ▲국가 차원의 종 복원 계획 수립부터 핵심종 확보 ▲증식·복원 연구 ▲기존 종 복원 기관과의 협업 등 전문연구기관으로서 폭넓은 역할을 하게 되며, 약 258만㎡ 부지에 ▲증식·복원 연구시설 ▲자연적응연구시설 ▲지원시설 등이 설치된다.

연면적 3만3887㎡인 증식·복원 연구시설에는 각 분류별 연구실, 증식실, 검역실 등이 배치되며, 120만㎡ 규모의 자연적응연구시설에는 분류군별로 증식된 개체의 자연적응을 돕기 위한 야외 훈련(방사)장, 야외서식지 등이 들어선다.

한편, 건립이 완료되면 멸종위기 Ⅰ급인 스라소니, 사향노루, 나도풍란과 Ⅱ급인 금개구리 등 동식물에 대한 증식·복원을 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러한 정부의 멸종위기종과 관련한 사업들은 생물자원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시대에 발맞춰 생물 주권을 확보하고 우리 국토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생물자원전쟁시대로 비유되는 21세기에 생물 주권국가로서 생물 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