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에 ‘정원’이라는 불을 지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20일 막을 내린다.

국내 최초로 국제정원박람회를 유치하고, 엑스포 규모의 대형 전시장을 조성해서 국내외 관람객이 4백만 명을 돌파했다고 하니 그 성공적인 수치만으로도 놀랍고 감동스러운 일이다. 부대효과 또한 매우 커서 우리나라가 정원국가로 가는 중요한 시발점이었음이 분명하다.

달아오른 이 열기를 어찌할 것인가?

박람회라는 것은 모름지기 ‘생산물의 개량 발전 및 산업 진흥을 꾀하기 위해 여는 것’이라고 한다면,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얻었고 어떤 발전을 가져와야 하는 것인지 함께 고민해야 한다. 수년간의 조성과정과 184일 동안 전시가 열리는 동안 우리는 발전과 진흥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 왔나?

모두가 뒷짐 지며 구경만 하고 있을 때 정부는 ‘정원산업과 문화를 진흥’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 솔루션을 준비했다. 지난 7월 국회 심포지엄에 이번 2차 행사를 통해 폭넓게 의견 수렴의 장이 마련된 것이다.

이 정책은 ▲정원문화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생활 속의 정원문화 확산 ▲정원소재산업 활성화 ▲지원체계 구축 등 4대 추진전략과 세부 17개 과제들로 구성됐다. 이 정책이 실현된다면 다양한 진흥사업과 문화 프로그램, 산업 인프라 등이 가시적으로 펼쳐져 우리 국민 누구나 쉽고 편하게 ‘정원’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폐막을 앞두고 지난 10일 마련된 ‘국민과 함께하는 정원문화의 미래’ 심포지엄에서 정책방향을 발표한 산림청 주무부서장은 무엇보다 ‘관련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 국토교통부, 농촌진흥청, 문화재청 등과 통합업무시스템을 구축해서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산림청의 선도적인 정책 추진을 두고 조경계 일각에서는 불편한 기색을 보이기도 한다. 정원의 본류는 조경이며, 조경이 정원을 주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싶은 것이다. 지난 해 말 사전 협의도 없이 법 개정을 통해 소극적인 개념의 정원을 반영하려 했던 것에 따른 반발이 있었던 점을 감안한다면 이해 못할 일도 아니다.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는 말이 있다.

그 뒤 산림청은 개정법안을 철회하고 조경계가 반발하고 있는 문제를 처음부터 다시 검토하기 시작했다. 숱한 과정을 거쳐 지금과 같이 종합적인 정책 솔루션이 나올 수 있었다. 또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유치되고 순천시에서는 국고 지원을 받기 위해 중앙정부를 다 돌아다녔는데, 법적근거가 없고 담당부서가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했을 때, 산림청에서 적극 지원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에피소드이기도 하다.

산림청에서 추진하는 정책이라고 무조건 배척해야 할 것인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이번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통해 더 앞서서 시작할 수 있는 새 출발점을 얻었다. 이제 원위치로 돌아가서 새로 갈 것인지, 아니면 멀찌감치 앞에 놓은 출발점에 설 것인지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다. 자기 것만 챙기려면 원위치로 돌아가야 하고, 서로 힘을 합쳐 큰 파이를 만들고 더 많은 것을 나눠가질 수 있다면 새 출발점에 서야 한다.

이미 국민들은 저만치 앞으로 가고 있다. 어디로 갈 것인가?

 

논설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